감탄고토의 온전하지 못한 모든 피조물의 본능과 본질을 따른 야망과 욕망의
본질인 의식주의 자급자족과 일용할 양식의 한계를 극복함으로 위 없이 살아있는
온전한 기쁨과 평안인 자유와 행복을 영원히 누리기 위하여
피조물의 한계와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다 헛되고 헛된 허망한 신기루이기에
무엇이든지 절대로 온전하게 바로 알 수 없다는 분명한 사실을 정직하게 인정하는
회개를 하기보다 온전하지 못한 피조물의 이성과 감성이 경험하는 자기 중심적인
의식과 무의식 세계인 마음과 생각을 정답으로 심각하게 착각하듯이
피조물의 마음과 생각이 꿈꾸며 갈망하는 상상의 용을 진짜 용으로 착각하여 믿는
것처럼 감성을 따라 허망한 신기루 맹신의 우상숭배나 미신을 정답으로 심각하게
착각하여 믿는 이기적인 삶인 신앙이나
이성을 따라 온전하지 못한 피조물의 수준에서 외모인 공평 타당함으로 판단한
논리의 주장인 철학이나 과학을 비롯한 이타적인 삶인 이 세상 모든 학문이나
신학은 온전한 정답이 아닐 뿐 아니라
허망한 신기루 맹신의 믿음을 근거한 이기적인 삶인 신앙과 온전하지 못한 허망한
신기루 논리를 근거한 이타적인 삶인 신학은 서로 정답이 아님을 반증하고
있음을 바로 깨닫지 못하고 종교 다원주의나 정치처럼 공생이나 상생의 명분으로
이기적인 삶인 신앙과 이타적인 삶인 신학을 서로 적당하게 야합하여 종교를
만들 뿐 아니라
그렇게 만들어진 종교나 정치이기에 정답을 찾아 방황하는 작금의 종교나 정치
현실이 신랄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한 지붕 두 가족이나, 적과의 동침으로
서로 충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허망한 신기루 유혹의 유익인 똥을 표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발악하며 몸부림치고 있기에
그 결과는 언제나 다람쥐 쳇바퀴나, 절대 불가능의 도전으로 어느 날 홀연히
인생 무상을 읊조리며 허공 속으로 흩어지며 사라져가는 실패자가 됨으로 분명하게
바로 알 때
새로운 피조물로 거듭난 만고의 영웅호걸은 허망한 신기루인 과거나 주변이나
환경에 미혹되어 토한 것을 다시 먹는 것처럼 허망한 신기루 유혹의 똥을 표적으로
다시 구하기 위하여 이기적인 삶인 신앙과 이타적인 삶인 신학을 비롯하여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는 중도나 중용의 삶을 위하여 발악하며 몸부림치기보다
그 본질은 이기적이거나 이타적이지도 않고 중도나 중용도 아니지만 그 외모는
그렇게도 보이는 각자 자신의 살아있는 길로만 가면 됨으로 분명하게 바로 알고
피조물의 현실의 삶을 살펴보면
모든 피조물의 삶의 본질은 선악이나 옳고 그름이 없이 그저 각자 자신의 역량을
따라 새로운 피조물로 거듭나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의 삶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피조물 스스로 외모로 판단하여 만든 허망한 신기루 처방전인 신앙이나 신학의
이름으로 미혹하여 본질을 가리고 있는데 그 현실의 실상을 보면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 3. 생물학자들은 인간도 오랜 진화 과정의
산물이라고 하는데, 신의 인간 창조와 어떻게 다른가? 인간이나 생물도 진화의
산물 아닌가? 라는 질문의 본질은 모든 피조물의 궁극적인 목적처럼 영생불멸의
새로운 피조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위 없이 살아있는 온전한 회개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상의 용 같은 신비를
스스로 확인하여 스스로 정답을 소유하려는 절대 불가능의 도전인 권모술수의
꼼수로 오히려 회개의 기회까지 상실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리는 발악을 하고
있지만
진화론이나 창조론 의미의 본질도 상상의 용이나, 오온이 공 하다고 하는 것처럼
분명하고 온전한 실상인 참이 아니라 온전하지 못한 피조물의 지각으로 그렇게
보여 피조물 스스로 붙인 이름이기에 피조물은 절대로 질문의 내용을 온전하게
증명할 수도, 증명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질문의 내용인 외모는 피조물의 한계로 인하여 더욱더 선명하게 눈앞에
다가오는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절박한 갈급함으로 온전한 도피처를 찾는
처절한 몸부림과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분명하게 바로 알아야 할 뿐 아니라
허망한 신기루인 이 세상의 품격 유지를 위한 스스로의 교만과 무례함으로 인하여
오히려 굴욕의 항복인 참회와 회개를 강요하는 죄인이나 괴물이 되어 인생의
마지막까지 이 세상의 똥을 표적으로 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명하게 바로 알아야
한다.
'사랑의 속삭임 낙서장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 5. 신은 인간을 사랑했다면, 왜 고통과 불행과 죽음을 주었는가? (0) | 2015.03.22 |
---|---|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 4. 언젠가 생명의 합성, 무병 장수의 시대도 가능할 것 같다. (0) | 2015.03.21 |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 2. 신은 우주만물의 창조주라는데 무엇으로 증명할 수 있는가? (0) | 2015.03.19 |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 1. 신의 존재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 (0) | 2015.03.18 |
삼성의 창업주가 했다는 잊혀진 질문에 대한 서론 (0) | 201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