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인 나는
이 세상에서 꼭 하고 싶은 것이나
꼭 보고 싶은 것이나, 꼭 갖고 싶은 것이나
꼭 먹고 싶은 것이나
꼭 이루고 싶은 것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참고 견디기 위하여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자연스럽게 하나도 없다
그래서 우리인 나는
그런 것으로 안내해 줄 것 같은
돈과 권력과 명예와 건강 등 조건과 환경을 비롯하여
어떤 대단한 선생이나 이웃을 구할 생각도 없고
어떤 대단한 도나 진리를 구할 생각도 없고
스스로 대단한 선생이나 이웃이 될 생각도 없다
그런 우리인 내가 바라보는 이 세상은 참으로 요지경 속이다
왜냐하면 피조물의 본질이요 한계인 혼돈과 공허와 흑암을
극복하여 살아있는 온전한 이고득락의 삶을 영원히 누리려면
사랑의 다른 이름인 기쁨과 평안, 자유와 행복 이념이
서로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온전한 사랑을 바로 알아야 할뿐 아니라
삶의 다른 이름인 사랑과 일과 쉼의 이념이 서로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온전한 삶도 바로 알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알지 못하여
소유하지 못함으로 현실의 삶으로 경험하지 못한
각계각층의 선생들이 자신들의 이 세상의 유익인 똥을 위하여
기쁨과 평안 자유와 행복을 분별할 뿐 아니라 사랑과 일과 쉼을
분별하여 만든 어떤 명분의 이념이나 조건의 처방전도
복으로 미혹하여 세뇌한 돈이나 권력이나 명예나 건강 등
이 세상의 유익인 똥에서 자유하기보다 오히려 볼모로 잡혀
울며 겨자를 먹고 있는 허망한 신기루 처방전을 보면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생각의 힘인 창조적인 삶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패션을 편집하거나 표절하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방법인 최선은 새로운 피조물로 거듭나는 것이고
차선의 방법은 원시적인 피조물로 회복하는 것이기에
정답으로 미혹하여 달려온 과학 기술과 문명 발달의
이기들로 인하여 기대와는 달리 정답으로 미혹하여 세뇌한
처방전 이념들의 참담한 본질이 현실의 실상으로 드러나
그 동안 난발한 온갖 명분의 처방전에 대한 이념 충돌의 한계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진짜 정답이 스스로 드러날 것임에도 불구하고
정답으로 착각하여 지금까지 쌓아 온 바벨탑을 허물지 않기 위하여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하듯이 다시 이 시대를 구원할 영웅호걸의
이념을 갈망하도록 미혹하여 세뇌하는
안식일 의미의 본질은 쉼이나 휴식이나 복이 아니라
창세기 1장 3절부터 시작되는 여호와를 스스로 만든 이념인
여호와 하나님이란 허황된 이념을 정답으로 미혹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의 굿판으로 바로 알아야 하는데
그것은 갑인 내가 쉬니 을인 너희들도 당연히 쉬라고
위협하고 협박하는 대단히 무례한 오지랖을 복이나 정답으로
착각하거나 빙자하여 종교를 비롯하여 각계각층의 선생들만
안식이란 이념으로 미혹한 안식일, 인식주일, 안식월, 안식년에
이어 희년까지 이용하여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며
배를 채우고 있는 불의와 불법을 합리화하며
스스로 극복하지 못한 자신의 한계인 쉼과 외로움과 자기반성 등의
허망한 신기루 이념을 정답으로 착각하여 목을 매는 어리석은 짓을
정답으로 미혹하여 세뇌하기 위하여 울리는 나팔과 꽹과리 소리의
허망한 신기루 이념을 따라
표적을 구하며 바람이나 구름을 잡으려는 절대 불가능의 도전에
집착하면 할수록 모순의 실상인 이념 충돌의 결과로 사회적 동물이란
빈 수레의 찌질한 실패자가 되어 안절부절 못하며
울며 겨자를 먹게 되는 것으로 바로 알아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이 세상 유익을 위하여
이 세상과 야합하여 절대로 다다를 수 없는 이념인
상상의 용을 표적으로 구하는 절대 불가능의 도전을 정답처럼
온갖 달콤한 신기루 명분의 이념으로 세뇌하여
표적을 구하도록 병 주고 약주는 다람쥐 쳇바퀴의
허송세월을 보내도록 미혹함으로
우리 모두는 사회적 동물이란 이념 속에서
빈 수레의 찌질한 실패자인 죄인이나 괴물이 되어
다람쥐 쳇바퀴 돌리며 울며 겨자를 먹고 있기에
이 세상 그 어떤 인생도 무미건조한
혼돈과 공허와 흑암의 삶과 인생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인생무상을 읊조리며
홀연히 허공 속으로 흩어지며 사라져가므로
공수래 공수거인 인생무상의 한계를 벗어난
공수래 만수거의 승리한 인생이 되지 못하는 것이로다.
'사랑의 속삭임 낙서장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와 문자와 색과 빛과 공간과 시간과 숫자의 향연인 철학과 종교는 (0) | 2016.01.23 |
---|---|
인생의 본질은 재미와 행복 (0) | 2016.01.22 |
쉼과 외로움과 자기반성 (0) | 2016.01.20 |
사상이나 윤리 도덕 (0) | 2016.01.19 |
전통이나 경험이나 추억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