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속삭임 낙서장

꿈을 이루면 꿈을 이루기 전보다 더 비겁하고 추악해지는 이유는

패스라 2017. 8. 6. 07:48

그래서 먼저 꿈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의 정의를 따라 정리해보면 꿈이란

 

첫째, 잠자는 동안에 의식과 무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의 꿈과

둘째, 실현시키고 싶은 장래 희망이나 소망이나 야망의 꿈과

셋째, 실현 가능성이 적거나 없는 부질없는 허황된 꿈과

넷째, 현실을 떠난 신혼 등 상상속의 단꿈 등 크게 4가지로 분별하고

 

그 중에서 둘째 꿈만

실현 가능하고 또 당연히 실현해야하는 진짜 꿈인 것으로 착각하여

온갖 명분으로 미혹하여 정답처럼 교육하고 훈련하여 세뇌하기 위하여

이 꿈을 이룬 사람들을 위인이라 하여 위인전을 만들어 정답처럼

무조건 그리고 당연히 부모와 온 세상이 야합하여 읽게 하고

 

윤리 도덕을 비롯하여 종교가 앞장서서 이 꿈을 찬양할 뿐 아니라

스스로 이 꿈을 이룬 것으로 자위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업적을 표절과

편집으로 조작하여 만든 자서전을 정답처럼 읽도록 유혹하고 있지만

 

서두에 확인한 것이나 작금의 현실이 반증하고 있는 것처럼

그렇게 세뇌된 꿈을 따라 챔피온이 되거나 성공하여

자타가 공인하는 꿈을 이루었다고 기뻐 날뛰던 사람들이

 

어느 한순간 다시 꿈을 찾는다고 방황하거나

신기루 같은 이룬 꿈을 지키기 위하여 꿈을 찾고 있는 자보다

더 갈급하고 불안해하며 우울증에 빠지는 등


이룬 꿈이 무색하게  감옥으로 향하는 대통령들의 발자취처럼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꿈을 이루면 꿈을 이루기 전보다 

더 비겁하고 추악해지는 이유는 

 

첫째, 진짜 꿈을 본적도 들은 적도 없어 알 수 없지만

지금까지 추구한 꿈이 진짜 꿈이 아니라 방편도구의 과정으로 미완이기에

본능적으로 갈망하는 자유의지의 온전한 만족을 충족할 수 없는 불안함과

갈급함 즉 다 이루었다는 이성과 부족하다는 감성의 충돌인 내부의 갈등과     

 

둘째, 거짓말이 거짓말을 낳고,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되는 것처럼

진짜 꿈은 타인과의 경쟁으로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런 온전한

새로운 신비의 연합체로 거듭나는 창의력의 완성임에도 불구하고

 

꿈으로 착각한 무한 경쟁의 그 과정 통과는 무조건 그리고 당연히

정당하지 못한 방법 즉 타인은 물론 스스로를 속이는 꼼수인 거짓말로

이루었기에 언제나 당당함보다 불안함 속에서 그 불안함을 속이는 꼼수의

거짓말을 온갖 명분으로 가리며 더 크게 하기 때문이다.